` 인터스텔라를 재미있게 봤다면, Erik Wernquist의 태양계 여행 단편 영화 WANDERERS (1) :: Black Sheep Wall!

Erik Wernquist 씨가 만든 우주단편, WANDERERS 방랑자들, 감동. 감동.

인터스텔라에 바라고 기대 했던 것은 바로 이런 - 인터스텔라 일년전 광고 영상에서 보여줬던 Pioneer로써의 우주 진출에 대한 이야기 였는데 이 단편 Wanderers를 보고 그 감동을 대신 얻었다. 단편 자체 뿐만이 아니라, Erik씨가 작업하며 하나하나 어떤 배경에서 작업을 했는지 기록해 놓은 Gallery 메뉴의 후기들이 너무 재미있어 함께 번역하기로 한다. (너무 길어 두 번으로 나누어서)


http://erikwernquist.com/wanderers/

Wanderers - a short film by Erik Wernquist from Erik Wernquist on Vimeo.

_1 The Open Road (Earth)



오프닝 장면은 기원전 만년전의 어느 날, 해가 진 후 중동의 북쪽 지대 어딘가에서 서쪽을 향해 걷고 있는 유목민의 행렬을 보여준다.밤하늘에는, 행성들이 청명하게 빛나고 있다. 지평선의 낯은 오른쪽부터 왼편의 높은 곳 까지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이 줄을 지어 서있다. 행성들이 우리 지구의 하늘에서 완벽하게 일렬로 서 있는지는 잘 모르지만, 아마도 이 단편을 시작하기에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했다. 하늘의 방랑자들 아래의 지구의 방랑자들.


The opening shot is a montage showing a band of nomads walking westward across a valley somewhere in the north Middle East, just after sunset and around 10000 BC. In the emerging night sky, the planets are shining clearly. From the horizon in the lower right to the top left they are as follows: Mercury, Venus, Mars, Jupiter and Saturn.

I don't know if the planets have ever been aligned like this in our sky, perfectly according their order of distance from the Sun, probably not but I figured it was a nice way to start the film. The wanderers of the earth under the wanderers of the sky.



_2 Leaving Home (Earth)



미래의 언젠가, 대형 우주선이 승객들을 가득 채운채 태양계의 어딘가로 긴 여행을 떠나기 위해부터 지구 궤도로 부터 이륙하고 있다. 이건 아마 다른 세계로 정착하기 위한 대규모 이민 선단일 것 이다. 우주의 배경으로 태평양에 해가 비치며 보이는 지구 사진은 2003년 7월 21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찍은 유명한 사진이다. 사진을 곡선면에 맞게 구부리고 햇빛에 대한 반사광을 디지탈로 추가하여 이 장면을 만들어 냈다. 우주선은 3D 모델링이다.


Sometime in the future, a large spacecraft is taking off from Earths orbit, filled with passengers on a long journey to somewhere else in the Solar System. This may be the first large colony to permanently settle another world.

The background is a classic photo of the Earth from space, with the sun setting over the Pacific Ocean, taken from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on July 21, 2003. I mapped the photo on a curved plane and replaced the optical flare from the sun with a digital flare to be able to create some motion. The original photo can be seen here.

The spacecraft is a digital 3D model, obviously.


_3 The Great Red Spot (Jupiter)



목성궤도 근처에서 거대한 붉은 반점이라고 알려진 극지방의 거대 고기압 폭풍을 내려다 보며 우주선에서 본 풍경이다. 이 폭풍은 지구에서 망원경을 통해 처음 관측된 이래로 300년 넘게 영원처럼 불고 있는 목성의 특징이다. 폭풍의 크기는 지구의 두배 정도를 감싸고도 남을 크기인데, 목성이  얼마나 거대한 지를 보여준다. 행성의 질감은 1979년 나사의 보이져 1호가 지나치며 촬영한 사진들을 가지고 Björn Jonsson이 모자이크로 엮어서 조립한 이미지를 사용했다. 불행히도 이 모습은 거대 붉은 반점이 1970년대 이래로 급속히 작아지고 있어 태양계에서 사라질 가능성이 있는 것 처럼 보인다. 1/3정도로 작아져 몇십년이 지나면 사라질 수도 있지만, 다시 커지거나 새로운 태풍이 생겨날 지 누가 알겠는가. 난 이 아름답고 엄청난 현상을 단편에서 보여주길 원했다. 


This is the view from a spacecraft in orbit around Jupiter, looking down at the huge anticyclonic storm known as the Great Red Spot.

This storm has been a permanent feature of Jupiter for over 300 years, when it was first discovered, and it is clearly visible through a telescope from Earth. The size of the storm as shown in this picture is large enough to swallow the Earth two times whole and then some, which gives an idea of how enormously huge Jupiter is.

The texture of the planet comes from a mosaic of photos from NASAs Voyager 1 flyby in 1979, assembled and processed by Björn Jonsson (as seen here).


Unfortunately it seems as though the possibility of a view like this is about to disappear from the Solar System, as the Great Red Spot have been shrinking drastically since the 1970s. Today, it is only about a third of the size depicted here, and in a few decades it may be gone entirely. But who knows, maybe it will grow larger again, or a new storm will appear. I wanted it in the film anyway, since it is such a beautiful and awesome phenomenon.


Here is a great article about the Great Red Spot (and it's shrinking) by astronomer and blogger Phil Plait.



_4 Enceladus Limb (Enceladus)



토성의 달인 엔셀라두스의 경이로운 간헐천 사이를 떠다니는 우주선이 보인다. 이 간헐천은 (2005년 카시니 우주선이 탐사한) 엔셀라두스의 얼어 있는 표면사이의 균열을 통해 형성대고 수증기와 얼음 조각들로 구성된 강력한 분출물을 우주로 뿜어낸다. 어떠한 물줄기는 수백 킬로 미터까지 도달하는데, 이러한 것들은 눈이 되어 표면으로 다시 떨어지고, 어떤 입자들은 우주로 날아가 모성인 토성의 유명한 고리의 일부분이 된다. 이 간헐천은 엔셀라두스 표면 아래쪽의 많은 양의 물이 저장되어 있음을 말해주고, 그러한 이유로 태양계 내의 생명체 탐사를 위한 가장 중요한 목표가 되고 있다. 배경의 사진은 2005년 카시니 우주선으로 나사가 촬영한 것이다. 엔셀라두스의 텍스쳐를 위해 역시 나사의 카시니 우주선이 촬영한 아름다운 엘셀라두스 전체 표면의 합성을 수정해 사용했다. 


Shown here is a spacecraft floating through the amazing cryo geysers on the south pole of Saturn´s moon Enceladus. These geysers (discovered by the Cassini spacecraft in 2005) are formed along cracks in the moons icy surface and shoot powerful jets of - amongst other stuff - water vapor and ice particles into space. Some of the plumes reach heights of several hundreds of kilometers, and while most of it falls back as "snow" on the surface, some particles are shot into space and become part of the famous Rings of the parent planet of Saturn. The geysers are one of many hints that there are large bodies of liquid water under the surface of the moon, making Enceladus a prime target for the search for extraterrestrial life in the Solar System. The photo I used for the background was taken by NASA with the Cassini spacecraft in 2005 and can be seen in its original form here. For the texture of the moon I took some liberties and tweaked parts of this beautiful composite of the full body of the moon, also by NASAs Cassini spacecraft.



_5 RINGSURF (Rings of Saturn) 



이 장면은 토성의 유명하나 고리 위를 떠다니는 사람을 보여준다. 고리는 이 각도에서의 카메라에서는 얼음조각들의 무질서한 범벅으로 보여질 뿐이지만, 멀찌감치 보면 전체 형태가 토성의 북쪽 반구에 드리워지는 그림자 형태로 보여지게 된다. 토성의 고리는 이루 말할 수 없을 만큼 광대하다. 가장 주된 고리의 길이는 안쪽의 D링부터 바깥쪽 F링까지 65000킬로 가량 된다. 안쪽 링의 끝에서 부터 바깥 끝까지 지구를 5개 정도 연속으로 늘어놓아도 남는 길이와 같다. 게다가 그것들은 엄청나게 얇다. 관찰된 바에 의하면 길게는 수 킬로 미터에서 부터 작게는 고작 10미터가량까지 다양하다. 멀리서 보면 투명한 원반처럼 보여지는데, 가까이서 관측하면 수천겹의 다양한 너비를 가진 띠의 조합으로 보여진다. 그 띠들은 셀수 없을 만큼 많은 작게는 모래알 입자보다 더 작은 크기부터 농구공 크기만큼의 다양한 각각의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어떤 것들은 소형 버스만큼이나 크다. 그것들은 모두 투명한 물 얼음으로 만들어져 있는데, 서로 부딫히며 끊임없이 조각나며 햇빛에 반사되어 우리 눈에 선명하게 보여지고 있다. 아직까지 고리에 대한 실제 사진은 없기 때문에, 최대한 상상해서 만들어 냈다. 이 장면은 내가 모두 만들어낸 장면이지만 2004년 나사의 카시니 우주선이 촬영한 사진들로 부터 큰 영감을 받았다. 


This shot shows a person floating just above the plane of the famous Rings of Saturn. The Rings themselves are seen here only as a mess of tumbling blocks of ice, as the camera is in the middle of them, but their full shape is hinted in the shadow they cast on the northern hemisphere of Saturn, far in the distance. The Rings of Saturn are immense! They main ring system have a radial width of about 65000 kilometers, from the edge of the inner D Ring to the outer F Ring. That means you could line up 5 Earths next to each other, starting from the edge of the inner ring and still have room to spare before you reach the outer edge. Yet they are remarkably thin. Observations vary from about a kilometer down to only ten meters or so. From a far distance they appear as an opaque disc, but from closer observation they are clearly a system of thousands upon thousands of stripes and gaps of varying widths. On an even closer look, it is revealed that all those stripes are made up of countless individual particles, ranging in size from smaller than a grain of sand to something like a basket ball. Some are large as a small bus. All of them made from clear water ice, constantly shattering and rebounding with each other, making the rings highly reflective in sunlight and so clearly visible to us. There are, as of yet, no real photos from within the Rings, so this is my best guess of what it may look like. This shot is created from scratch (as in no photos used), but I was very inspired by this photo by NASAs Cassini Spacecraft from 2004.


_6 MARS ELEVATOR (Mars) 



이 장면은 화성의 테라키메리아 고지대의 북쪽을 향해있는 케이블을 따라 내려가는 우주엘리베이터의 객실을 보여준다. 어둠속에서 빛으로 빛나는 대규모 정착촌이 표면 아래쪽으로 보여진다. 화성의 두 달중 하나인 포보스가 엘리베이터 객실 위쪽 케이블 좌측편으로 보여진다. 우주 엘리베이터는 오래전부터 나왔던 아이디어 들인데, 단순히 과학 소설 주제가 아닌 행성 표면으로 많은 양의 짐을 효율적으로 운송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써 제안 받아왔다. 아이디어는 매우 긴 케이블을 통해 엘리베이터 객실이 오르락 내리락 한다는 것이다. 케이블의 한쪽 끝은 행성의 자오선 부근의 표면으로 연결되어 있고 다른쪽 끝은 정지궤도 상의 무게가 상쇄되는 지점으로 연결되어 있다. 정지궤도는 행성의 자전력과 인력이 일치하여 물체가 궤도상에 안정적으로 정지할 수 있는 지점이다. 지구의 경우는 지상으로 36000 킬로미터 지점인데, 매우 긴 케이블이 필요한 것이다. 이 컨셉이 실제로 실현가능한 아이디어 처럼 보임에도 불구하고, 지구에 건설한다고 할 때 강하게 논쟁의 대상이 되는데, 케이블의 엄청나게 강력한 장력과 엄청난 무게로 인하여 사실상 실현 불가능한 것으로 판명나고 말았다. 하지만 좀 더 작고, 중력이 가벼운 달이나 화성에서는 미래의 우주 엘리베이터가 좀 더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화성의 반지름은 지구의 절반 가량 되고, 엘리베이터 케이블은 정지 궤도 까지 그리 길지 않아도 될 것이며, 또한 가벼운 중력으로 인해 케이블의 무게 또한 큰 방해를 주지 않을 것이다. 


화성의 텍스쳐는 John Van Vliet가 가상 우주 시뮬레이터 셀리스티아를 위해 만든 엄청난 양의 고해상도 나사 궤도 사진들로 만들었다. 온라인으로 찾아 볼 수 있는 많은 양의 우주 엘리베이터 관련 문학 자료들이 있는데, 매우 상세한 조사를 통해 만들어진 Kim Stanley Robinson의 "Mars Trilogy"를 강력하게 추천한다. 


그림에 보여지는 장면은 내가 알고 있는 한 화성에 궤도 엘리베이터를 건설하기 가장 이상적인,산 정상이 화성 표면 위로 14킬로미터 위에 위치해 있고 적도 근처에 자리하여 케이블을 불과 몇 킬로미터만 연결하면 될 완벽한 장소인. Pavonis Mons 화산 정상은 아니다. 그러나 산정상 부근은 보기에 멋지진 않기 때문에, 나는 순수하게 미적인 관점에서 대신 Terra Cimmeria highlands를 선택했다. 


 This shot follows the cabin of a space elevator descending on a cable towards the northern parts of the Terra Cimmeria highlands on Mars. A large settlement, hinted as glowing lights in the dark, can be seen far below on the ground. One of Mars' two moons - Phobos - is seen above the cabin to the left of the cable in the beginning of the shot. The space elevator is an idea that has been around for a long time, not only as science fiction but a serious suggestion of how to efficiently transfer large amounts of mass on and off a planet. The idea in short consists of a very long cable, along which cabins can climb up and down like an elevator. One end of the cable is attached to the ground at the planets equator, and the other to a counterweight beyond geostationary orbit. Geostationary orbit is an altitude where an object can stay stable in orbit over the exact same place above the ground and follow along as the planet revolves. In the case of the Earth that is at an altitude of about 36 thousand kilometers, so we are talking about a very long cable. Although this concept is indeed a viable idea, it is also highly controversial when it comes to building one on Earth, and this may indeed turn out to be impossible due to the incredibly high demands on the strength of the cable in relation to its weight. On smaller, lighter worlds, however, like the Moon or on Mars, the prospects for a future space elevator are somewhat more promising. As Mars' diameter is about half of the Earths, the elevator cable wouldn't have to be as long to reach geostationary orbit and due to the lighter gravitational pull it wouldn't suffer as much stress from its weight. 


 The texture for Mars in the shot comes from a tremendously high resolution assembly of NASA (and ESA?) orbital photographs made by John Van Vliet for the virtual space simulator Celestia. There is plenty of literature on space elevators online, but for an incredibly well researched incorporation of them (and Mars in general) in fiction I highly recommend the "Mars Trilogy" by Kim Stanley Robinson. 


 A small side note: As far as I have understood it, the ideal place to attach a space elevator on Mars would not be where I have done it in this shot, but on the top of the volcano Pavonis Mons. With a peak reaching 14 kilometers above Mars's mean surface level, and location almost exactly at the equator it would be the perfect spot - as it would cut a few kilometers from the length of the cable. However, the area around that mountain did not look as neat, so for purely artistic reasons I chose the Terra Cimmeria highlands instead.

Get Inspired! at 2014. 12. 3. 01:32